검색
학부과정
학부과정 > 교과과정 > 민속학과 커리큘럼
민속학과 커리큘럼
교육과정 소개
학년이수구분교과목1학기2학기
학점강의실습학점강의실습
2학년전선공동체문화와 대안(905028)330
2학년전선민속문학의 이해(905009)330
2학년전선민속사와 문화변동(905015)330
2학년전선민속종교와 종교문화(905011)330
2학년전선민속학과 현지조사(905010)330
2학년전선의식주와 문화유산(905002)330
2학년전선가족과 친족(905007)330
2학년전선문화유산의 이해와 활용(905021)330
2학년전선민속과 젠더문화(905006)330
2학년전선민속사회의 이해(905001)330
2학년전선민속예술과 문화유산(905012)330
2학년전선한국의 세시풍속(905013)330
교육과정 상세내용
공동체문화와 대안(905028)
이 과목은 민속문화 유산을 공동체문화라는 시각에서 접근한다. 민속은 현대 한국사회에서 공동체문화로 재현 변환되고 있다. 특히 사회적 가치로서 다양한 영역에서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학생들은 이 강의에서 민속이 공동체문화로서 현대사회에 존재하는 양상과 그 특징을 종합적으로 공부할 수 있다. 또한 공동체문화 영역에 활동할 수 있는 전문성과 실천 감각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민속문학의 이해(905009)
민속문학의 전반적인 양상을 파악하고 갈래별 전승양식과 민중의식의 관계를 살피며 민속문학의 묘미와 가치를 밝혀 현실적인 기능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한다. 민속문학 방법론에 따라 민속문학 현지조사 방법을 익혀 자료를 수집하고 보고하며 해석하는 역량을 기른다.
민속사와 문화변동(905015)
민속의 역사인 ‘민속사’와 문화의 변동은 불과분의 관계에 있으므로 민속의 역사 속에서 문화변동을 살펴보고 그 미래상을 모색한다.
민속종교와 종교문화(905011)
한국인의 삶의 한 부분으로 실천되어 온 한국 민속종교의 다양한 유형을 검토하고 종교적 성격을 밝힘으로써, 한국 민속종교가 한국 종교문화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한국 종교문화 일반에 대한 이해를 시도한다. 나아가 한국 종교문화 자원의 정리, 분석 능력과 전통문화와 현대문화의 융합 능력을 함양하는데 기여하도록 한다.
민속학과 현지조사(905010)
‘민속학은 현장학’이라고 할 정도로 현지조사는 민속학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사례학습 을 통해 현지조사의 방법과 기술을 체득하고, 조사한 결과를 바람직한 민속지(ethnography)로 만들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의식주와 문화유산(905002)
삶의 기본요건인 의식주 생활에 미친 자연환경과 역사·사회·경제적 배경뿐만 아니라, 의식주 생활의 사회·문화적 의미에 대해 학습하고, 문화유산으로서 의식주의 양식과 특질, 사회·문화적 기능에 관해 탐구한다.
가족과 친족(905007)
가족의 구조, 집(家)과 친족의 제도와 기능을 이해한다. 혼인 연망과 마을사회의 혈연관습을 사례 연구한다.
문화유산의 이해와 활용(905021)
문화유산의 형태와 양식뿐만 아니라 그 사회적 의미와 기능을 탐구함으로써 역사적·예술적·학술적 가치를 조명하고, 문화유산을 문화자원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민속과 젠더문화(905006)
이 과목은 민속문화 유산을 젠더문화라는 시각에서 접근한다. 근대 이전의 민속문화 유산 속 젠더문화 양상을 물론 근대 이후 민속문화 유산의 재현과 변환 과정에서 새롭게 전개된 젠더문화의 유형과 존재 양상까지 폭넓게 다룬다. 학생들은 이 강의에서 민속문화 유산을 젠더문화의 시각에서 접근하는 방식과 그 특징에 대해 공부할 수 있다. 또한 민속문화 유산과 젠더에 대한 관점과 입장을 정립하여 그와 관련된 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민속사회의 이해(905001)
지연공동체의 생태학적 제 특징과 사회조직을 지연과 혈연의 원리를 참작하여 이해한다. 자생적 협업 조직과 공동체 신앙의 관계를 분석하고 마을사회의 삶을 이해한다.
민속예술과 문화유산(905012)
민속예술(민속음악‧민속미술‧민속극‧민속무용‧민속문학)의 존재양상을 파악하고 미적 원리를 해명하며, 이를 바탕으로 동시대의 민중예술‧대중예술‧엘리트예술과 비교 검토를 수행한다.
한국의 세시풍속(905013)
음력 정월 초하루부터 섣달 그믐날까지 해마다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세시풍속을 농경의례와 관련 지어 검토하고 역사적‧사회적‧종교적 측면에서 분석, 이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