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학사연구
민속학의 정립과 그 역사적 전개를 시대·영역·쟁점별로 이해함으로써 민속 연구의 향방을 점검하고 그 전망을 모색한다. 아울러 연구사적 기여가 큰 민속학자의 연구를 별도로 정리하고 평가함으로써 학적 계승과 극복의 기반을 마련한다.
한국민속사연구
역사의 전개과정에서 매 시기 민속이 어떠한 모습으로 존재하였고, 어떻게, 왜 변화했는가를 정치·사회·경제·종교·사상 등의 제 국면과 계층·계급론의 역동성 속에서 검토하여 민속의 통시적 존재원리를 해명할 수 있도록 한다.
민속학방법론연구
민속학 관련 방법론들의 역사와 이치를 체계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일정한 방법론에 입각하여 민속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이론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한다.
비교민속학연구
민속학 방법론으로서 비교연구를 주목하고 비교민속학의 연구성과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비교연구의 준거와 원칙등의 방법을 익혀 이웃나라 민속과 비교연구를 통해 두 나라 민속의 같고 다른 현상을 분석하고 그 문화적 요인을 해명할 수 있도록 한다.
영상민속지론
사진기 혹은 촬영기 등을 이용하여 민속을 영상으로 담은 것을 영상민속지라고 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기존에 제작된 영상민속지를 분석하며 또한 영상민속지 제작에 관하여 논의하고 실습한다.
민속아카이브론
민속은 다양한 관심과 목적으로 수집되어 민속아카이브를 형성하고 있다. 본 과목은 기존의 민속아카이브의 특색과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다양한 목적에 응용할 수 있는 민속아카이브이 정립 방법에 대하여 논의한다.
민속지식과 문화기획
현대의 문화기획은 독창성과 전통성을 중시한다. 민속학은 전통사회의 민중문화 일반은 물론 관련 문화를 탐구하는 학문이므로 문화기획에 경쟁력이 있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강좌에서는 민속학의 제반 지식을 바탕으로 공연 및 전시 등 문화관련 기획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공동체와 대안문화연구
공동체의 역사와 문화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대안적으로 사유하여 그 대안문화로서 가능성을 탐구한다.
고령사회의 노인문화 연구
고령사회의 주체로서 노인들의 문화적인 양상, 특성, 의미, 기능 등을 탐구하며, 나아가 노인들이 처한 사회적 문제에 대해 민속학적으로 접근하고 이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