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대학원과정
대학원과정 > 석사과정 > 사회민속전공
사회민속전공
한국종교와 민속
한국 종교의 사적(史的) 맥락을 검토하고 민속과의 상호관련 속에서 어떻게 전개되었는가를 파악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한국 종교 속에 내포되어 있는 민속사상(民俗事象)의 실체를 탐구한다.


가족과 친족 연구
수정확대가족의 변모구조를 살피고 친인족 체계와 문중의 본질 등에 관한 주요 학설의 근거를 분석·비판한다. 이를 토대로 한국친족 명칭의 의미론적 영역을 검토하여 친족관계의 핵심적 구조를 파악한다.


통과의례연구
개인은 성장과정, 지위의 변화, 장소의 이동에 따라 의례를 치르게 되며 이를 통과의례라 한다. 통과의례는 특정 집단 혹은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인정받는 절차로서 의례과정에 다양한 상징과 행위가 동원된다. 본 과목은 통과의례에 동원되는 상징과 행위의 의미와 기능을 역사와 사회적 맥락을 바탕으로 분석한다.


민속의 관광자원화
인간의 문화적 욕구인 관광에 대하여 전반적인 이해를 한 다음 문화관광의 주요한 자원이 되는 민속문화를 관광자원화 하기 위한 목적과 방법을 연구한다.


세시풍속의 의미와 활용
세시풍속은 한국의 다양한 전통문화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복합적인 문화현상으로 생활문화이자 생활의례이다. 여기에는 민중의 생활관이 다양하게 반영되어 있으므로 그 의미에 대하여 다각적으로 연구한다. 아울러 문화콘텐츠의 대상으로, 보다 폭넓고 심도있게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무속의 의미와 기능
세계적으로 존재하는 샤머니즘의 하나인 한국무속은 오랜 역사를 통해 한국인의 종교생활과 더불어 일상생활의 기반이 되어왔다. 그러기에 무속이 오늘날까지 살아있는 종교로 전승될 수 있는데 그 요인과 본질, 의미에 대하여 천착한다. 아울러 현대사회에서 무속의 기능, 종교로서의 위상 등을 파악해 본다.


민속놀이연구
놀이는 비일상적 문화현상의 중핵을 이루고 있다. 민속놀이가 어떤 내용과 형식을 갖고 있으며, 일상적 문화현상들과 어떤 관계 속에서 어떻게 변화해왔는가를 기존 자료와 현지조사를 통해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전승 및 연행의 원리를 도출한다. 아울러 도출한 원리를 바탕으로 이를 현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축제문화연구
축제는 동시대의 중요한 문화현상 가운데 하나이다. 이 강좌에서는 축제의 문화적 의미에 관한 이론적 탐색을 바탕으로 축제의 전승원리 및 의미와 기능을 파악할 수 있는 역략을 기른다.


민속문화와 미디어변환
민속문화가 미디어를 매개로 변환되는 다양한 양상을 이해하여 현대민속문화론을 탐구한다.


농촌현실문제연구
고령화, 저출산 지방 경제의 붕괴 등으로 인해 소멸위기에 처한 현대 한국 농촌사회의 현실문제에 대하여, 사례연구 및 이론적 접근을 시도한다. 나아가, 주민들의 생활과 문화를 심층적으로 탐구해 왔던 민속학의 학문적 특성을 살려, 지역공동체 현실문제에 대한 문화적 대응방안을 모색해 볼 것이다.


문화변동연구
문화의 변동 과정을 민속학적 입장에서 분석한다.